회사에서 일을 하면서 hosts파일을 설정할 일이 생겼다. 정확히 어떤 일을 하는 파일인지 모르고 있었기에 이번 기회에 공부하게 되었다.

 

Hosts란?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주소가 저장되어 있어서 DNS에서 주소를 제공받지 않아도 서버의 위치를 찾게 해주는 파일이다.

 

예를 들어 www.naver.com에 접속을 하게 된다면 외부 DNS서버를 통해 IP가 제공되고 그 IP주소에 우리가 접속을 하게되는 것이다. 만약 호스트 파일에 IP주소와 도메인을 적어놨다면 따로 DNS서버를 거치지 않고 바로 그 IP주소에 접속하게된다.

 

정리하자면

 

▶ 호스트파일의 역할

 -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가 저장되어 있어서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에서 주소 정보를 제공받지 않고도 서버의 위치를 찾게 해준다.

 

 

▶ 호스트 파일 사용 장점

 - 인터넷 속도 향상

 - 리소스 사용을 줄임

 - 보안 문제 예방적 대처

 

 

▶ 호스트 파일 사용 단점

 - 사이트 방문이 차단될 수 있다

 - 페이지 내에서 부분 차단된 경우 디자인, 속도 문제

 

 

▶ 호스트 파일 저장 위치

 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 호스트 파일 작성 원칙

- 샵 기호(#)로 시작하는 줄(line)은 주석문, 개별 줄(line) 앞이나 호스트 이름 다음에 작성

- 각 항목은 한 줄(line)로 작성

- 항목은 IP 주소 + 호스트 이름 순서로 제한

-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의 간격은 최소한 1칸을 띄움

- 호스트 이름 부분에 'IP 주소' 등록 제한 : 호스트의 IP 주소 검색이 목적. IP 주소를 이미 찾은 상태

- 호스트 이름의 글자수는 255자로 제한

- 프로토콜 형식 'http:', 와일드카드 문자 '*', 주소 맨끝에 사선기호 '/' 사용 제한

 

IP나 도메인 등 좀 더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아래 내가 참고한 블로그에 들어가서 깊게 공부해보자!

 

참고

https://way-be-developer.tistory.com/86

https://goddaehee.tistory.com/90

'개인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이란?  (0) 2021.08.20

회사에서 공부를 하다가 NAT이라는 용어가 나와서 들어는 봤지만 헷갈리는 단어라 다시 공부를 하게 되었다.

 

NAT이란 위키에 따르면

네트워크 주소 변환(영어: network address translation, 줄여서 NAT)은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쓰이는 용어로서, IP 패킷 TCP/UDP 포트 숫자와 소스 및 목적지의 IP 주소 등을 재기록하면서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을 말한다. 패킷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IP나 TCP/UDP의 체크섬(checksum)도 다시 계산되어 재기록해야 한다. NAT를 이용하는 이유는 대개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개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이다. 많은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NAT를 편리한 기법이라고 보고 널리 사용하고 있다. NAT가 호스트 간의 통신에 있어서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라고 한다..

 

말이 좀 어렵게 되어 있지만 간단하게 생각하면 우리가 가정집에서 사용하는 공유기에서 사용하는 여러기기가 있다면 각 기기마다 사설 IP 주소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때에는 이러한 개인 IP 주소들을 공인 IP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에 접속을 하게된다.

위의 이미지를 보면 아마 쉽게 이해가 될것이다..

 

우리가 NAT을 사용하는 이유에는 두가지 정도가 있다.

 

첫번째는 공인 IPv4주소를 절약하기 위해서이다.

인터넷상의 공인 IP주소는 유한할 수 밖에 없다. 현재 IPv4의 경우 2의32승의 갯수만을 사용할 수 있으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NAT을 사용해 하나의 공유기에서 여러기기를 연결시키고 이를 통해 공인 IP 주소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다.

 

두번째는 보안의 목적이다.

공개된 인터넷망에 사설 내부 IP가 노출된다면 개인PC로의 직접적인 접속 등 보안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NAT과 함께 방화벽을 사용함으로써 외부로의 공격을 예방 혹은 방어할 수 있다.

 

NAT의 동작원리나 자세한 사항은 참고자료에 있으니 나중에 공부할때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

 

참고

https://www.stevenjlee.net/2020/07/11/%EC%9D%B4%ED%95%B4%ED%95%98%EA%B8%B0-nat-network-address-translation-%EB%84%A4%ED%8A%B8%EC%9B%8C%ED%81%AC-%EC%A3%BC%EC%86%8C-%EB%B3%80%ED%99%98/

https://m.blog.naver.com/sehyunfa/221684093830

https://wiki.teltonika-networks.com/view/Network_Address_Translation

https://ko.wikipedia.org/wiki/%EB%84%A4%ED%8A%B8%EC%9B%8C%ED%81%AC_%EC%A3%BC%EC%86%8C_%EB%B3%80%ED%99%98

'개인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호스트(hosts)파일이란?  (0) 2021.08.20

+ Recent posts